01. 브랜치 생성 및 이동
#현재 위치와 브랜치 리스트 확인
git branch
#newBranchName 란 이름의 브랜치를 생성
git branch newBranchName
#브랜치로 이동
git checkout newBranchName
#브랜치를 만들고 이동
git checkout -b newBranchName
02. 브랜치 작업 내용 적용 및 커밋
#브랜치 작업 후 모든 파일 적용
git add .
#커밋
git commit -m "comment"
03. 마스터에서 병합 및 오리진에 적용
#마스터로 이동
git branch master
#현재 위치 확인
git branch
#마스터에 오리진의 최신 데이터 적용
git pull origin master
#마스터에 생성한 브랜치의 작업 병합
git merge newBranchName
#병합 상태를 확인해주세요.
#상태 이상이 없을 경우, 오리진에 적용.
git push origin master
#작업한 브랜치 삭제
git branch -d newBranchName
이외 추가 상황에 참고할만한 페이지
https://git-scm.com/book/ko/v1/Git-%EB%B8%8C%EB%9E%9C%EC%B9%98-%EB%B8%8C%EB%9E%9C%EC%B9%98%EC%99%80-Merge%EC%9D%98-%EA%B8%B0%EC%B4%88
http://yonoo88.tistory.com/204
자세한 명령어 정리 및 설명
http://noritersand.tistory.com/86
'기록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ignore 적용 (0) | 2016.03.21 |
---|---|
Git stash 사용법 (0) | 2016.02.12 |
git error (0) | 2016.01.17 |
git stash 사용 - 커밋하기전 엉켰을 때 (0) | 2016.01.13 |
Git 사용 정리 (0) | 2015.09.07 |